이 글은 개발 블로그 개발 여정의 게시글이예요

해당 포스트는 NextJS를 이용하여 개발 블로그를 만들며 작성한 포스트입니다.

기술 블로그의 전체 코드는 🪢 yonglog github 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렉티브한 사이드바 만들기의 썸네일

Velog의 사이드바 예시Velog의 사이드바 예시

Velog 의 사이드바처럼 인터렉티브하게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에 맞춰 활성화 되고

클릭하면 해당 타이틀로 이동하는 사이드바를 만들어보자

사이드바 프로토타입 만들기

app/[postId]/page.tsx
const PostPage = ({ params }: { params: { postId: string } }) => {
  const { meta, content } = getPostContent(params.postId);
  const components = useMDXComponents({}, meta.path);
 
  return (
    <>
      <header className='pt-14 mb-12'>
        <PostTitle meta={meta} />
      </header>
      <main className='px-14'>
      <main className='w-[100%] lg:w-[150%] flex'>
        <section className='px-7 w-[100%] lg:px-14 lg:w-[70%] lg:mr-[2rem]'>
          <Suspense fallback={<LoadingContnet />}>
            <MDXRemote
              source={content}
              components={components}
              options={{
                mdxOptions: {
                  remarkPlugins: [remarkGfm],
                  rehypePlugins: [
                    [
                      rehypePrettyCode,
                      {
                        theme: 'material-theme-darker',
                      },
                    ],
                  ],
                },
              }}
            />
          </Suspense>
        </section>
        <section className='hidden lg:block'>
          <nav className='sticky top-[15rem] w-[250px]  border-l-[2px] pl-3'>
            <ul>
              <li>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Illum
                ullam odio quo nobis blanditiis dicta corrupti id ex quis nisi,
              </li>
              <li>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Saepe
              </li>
            </ul>
          </nav>
        </section>
      </main>
    </>
  );
};
 
export default PostPage;

Sidebar 프로토타입Sidebar 프로토타입

미디어 쿼리를 이용해 사이드바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해봤다.

  • 뷰포트의 너비가 1024px 이상일 때 : 포스트를 담고 있는 너비를 150% 로 키운 후 사이드바를 display : block 으로 변경해 렌더링 되도록 한다. 이후 사이드바를 sticky 로 고정한다.

  • 뷰포트의 너비가 1024px 이하일 때 : 포스트를 담고 있는 너비를 줄이고 사이드바를 display : hidden 으로 렌더링 하지 않는다.

잘 작동한다. :)

해당 프로토타입을 토대로 기능을 하나씩 추가해보자

Header 데이터로 계층적 ul , list 생성하기

Heading 텍스트 파싱하기

@/app/lib/interactiveSidebar.tsx
import type { PostInfo } from '@/types/post';
 
type HeadingSize = 1 | 2 | 3;
type HeadingText = string;
type HeadingInfo = [HeadingSize, HeadingText];
export type Headers = HeadingInfo[];
 
export const parsingHeaders = (content: PostInfo['content']): Headers => {
  const headers: Headers = [];
  const splitedContent = content.split('\r\n');
  splitedContent.forEach((paragraph) => {
    const [headerSize, ...headerText] = paragraph.split(' ');
    switch (headerSize) {
      case '#':
        headers.push([1, headerText.join(' ')]);
        break;
      case '##':
        headers.push([2, headerText.join(' ')]);
        break;
      case '###':
        headers.push([3, headerText.join(' ')]);
        break;
      default:
        break;
    }
  });
 
  return headers;
};

다음과 같이 단순히 mdx 텍스트를 배열로 변환 후 # , ## , ### 를 기준으로

HeadingSize,HeadingText[] 를 담은 배열을 반환하는 parsingHeaders 메소드를 정의해준다.

해당 메소드의 반환값 예시는 다음과 같다.

parsingHeaders의 반환값 예시
[
  [1, '사이드바 프로토타입 만들기'],
  [1, 'Header 데이터로 계층적 ul , list 생성하기'],
  [2, 'Heading 텍스트 파싱하기'],
  [2, '파싱한 Heading 텍스트를 이용해 계층적 ul , li 만들기'],
  [1, 'PostSideBar 컴포넌트 생성하기'],
  [1, '라우팅은 어떻게 할까?'],
];

파싱한 Heading 텍스트를 이용해 계층적 ul , li 만들기

export const createList = (
  headers: Headers,
  index: number = 0,
  beforeHeadingSize: number = 0,
  list: React.ReactNode[] = [],
) => {
  while (index < headers.length) {
    const [currentHeadingSize, text] = headers[index];
    if (currentHeadingSize > beforeHeadingSize) {
      const subList = createList(headers, index, currentHeadingSize);
      list.push(
        <ul key={`ul-${index}`} className='px-4'>
          {subList.list}
        </ul>,
      );
      index = subList.nextIndex;
    } else if (currentHeadingSize < beforeHeadingSize) {
      return { list, nextIndex: index };
    } else {
      list.push(
        <li key={`li-${index++}`} className='mb-2'>
          {text}
        </li>,
      );
    }
  }
 
  return { list, nextIndex: index };
};

이후 재귀함수인 createList 메소드를 이용해 계층적인 ul , li 태그로 이뤄진 배열을 생성해주자

createList 는 호출시 생성된 list 를 반환하는데 해당 list 에는 li 태그로만 이뤄진 컴포넌트들만 존재하거나 ul , li 태그들로 이뤄진 컴포넌트를 반환한다.

createList 는 본인보다 headingSize가 큰 값을 만날 때 까지 재귀적으로 호출되며 본인과 같은 경우엔 listli 태그를 담고

본인보다 작은 경우엔 createList_2 를 호출하여 재귀적으로 탐색한 list_2 값들을 이용해 <ul>{list_2}</ul>list 에 담는다.

편의상 두 번째 호출된 createListcreateList_2, createList_2 가 반환하는 listlist_2 라고 하였다.

createList의 반환값 예시 , children에 존재하는 값들은 모두 재귀적으로 담겨진 h1~h3의 list들이다
[
  {
    $$typeof: Symbol(react.element),
    type: 'ul',
    key: 'ul-0',
    ref: null,
    props: { className: 'px-4', children: [Array] },
    _owner: null,
    _store: {},
  },
];

PostSideBar 컴포넌트 생성하기

이후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PostSideBar 컴포넌트를 생성해주자

@/components/client/PostSideBar.tsx
import { parsingHeaders, createList } from '@/app/lib/interactiveSidebar';
 
import type { PostInfo } from '@/types/post';
 
const PostSideBar = ({ content }: { content: PostInfo['content'] }) => {
  const headers = parsingHeaders(content);
  const { list: PostHeaderList } = createList(headers);
 
  return (
    <nav className='sticky top-[15rem] w-max-[300px] border-l-[2px] '>
      {PostHeaderList}
    </nav>
  );
};
 
export default PostSideBar;
/[postId]/page.tsx
const PostPage = ({ params }: { params: { postId: string } }) => {
  const { meta, content } = getPostContent(params.postId);
  const components = useMDXComponents({}, meta.path);
 
  return (
    <>
      <header className='pt-14 mb-12'>
        <PostTitle meta={meta} />
      </header>
      <main className='w-[100%] lg:w-[150%] flex'>
        <section className='px-7 w-[100%] lg:px-14 lg:w-[70%] lg:mr-[2rem]'>
          <Suspense fallback={<LoadingContnet />}>
            <MDXRemote
              source={content}
              components={components}
              options={{
                mdxOptions: {
                  remarkPlugins: [remarkGfm],
                  rehypePlugins: [
                    [
                      rehypePrettyCode,
                      {
                        theme: 'material-theme-darker',
                      },
                    ],
                  ],
                },
              }}
            />
          </Suspense>
        </section>
        <section className='hidden lg:block'>
          <PostSideBar content={content} />
        </section>
      </main>
    </>
  );
};
 
export default PostPage;

계층적으로 구성된 사이드바의 모습계층적으로 구성된 사이드바의 모습

라우팅은 어떻게 할까?

라우팅 자체는 그닥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app/[postId]/page.tsx
const PostPage = ({ params }: { params: { postId: string } }) => {
  const { meta, content } = getPostContent(params.postId);
  const components = useMDXComponents({}, meta.path);
 
  return (
    <>
      <header className='pt-14 mb-12'>
        <PostTitle meta={meta} />
      </header>
      <main className='px-14'>
        <Suspense fallback={<LoadingContnet />}>
          <MDXRemote
            source={content}
            components={components}
            options={{
              mdxOptions: {
                remarkPlugins: [remarkGfm],
                rehypePlugins: [
                  [
                    rehypePrettyCode,
                    {
                      theme: 'material-theme-darker',
                    },
                  ],
                ],
              },
            }}
          />
        </Suspense>
      </main>
    </>
  );
};
 
export default PostPage;

MDX 파일을 변환 할 때 remarkPluginsremarkGfm 을 이용해주고 있는데 해당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h1~h6 까지의 childrenid 로 적용시켜놔준다.

remarkGfm으로 인해 heading tag의 id는 children과 같다.remarkGfm으로 인해 heading tag의 id는 children과 같다.

원활한 id 설정을 위해선 h1~h6 태그 내부의 children 은 순수한 문자열로 적는 것이 좋다.

나는 헤딩 태그 내부에서 백틱을 이용한 '<code>..</code>어쩌구 저쩌구' 이런식의 단어를 자주 쓰곤했는데 그렇게 되면 id 값이 [Object object] 어쩌구 저쩌구 이런 식으로 된다.

그렇게 되면 각 heading 태그들의 id 값과 Link 값이 가리키는 주소가 다르기 때문에 라우팅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포스트들을 파싱 해올 때 # 가 들어간 텍스트들의 백틱들을 정규표현식을 이용해 제거해주는 filterContent 메소드를 정의해 적용해주었다.

lib/post.tsx
...
const filterContent = (content: PostInfo['content']) => {
  const splitedContent = content.split('\r\n');
 
  return splitedContent
    .map((text) => {
      return text.startsWith('#') ? text.replace(/`/g, '') : text;
    })
    .join('\r\n');
};
 
const parsePosts = (source: Source): Array<PostInfo> => {
  const Posts: Array<PostInfo> = [];
 
  const parseRecursively = (source: Source): void => {
    getAllPath(source).forEach((fileSource: Source) => {
      if (isDirectory(fileSource)) {
        parseRecursively(fileSource);
      } else {
        if (isMDX(fileSource)) {
          const fileContent = fs.readFileSync(fileSource, 'utf8');
          let { data, content } = matter(fileContent);
          /* 만약 h1~h3에서 백틱이 존재한다면 라우팅 기능이 되지 않으니 필터링 해주자 */
          content = filterContent(content);
          ...

PostSideBar 에 들어가는 li 태그의 내용과 모든 h1~h3 들의 id 가 동일하기 때문에

Link 컴포넌트의 href 에 해당 id 값을 넣어 라우팅을 시켜주자

@/lib/interactiveSidebar.tsx
export const createList = (
  headers: Headers,
  index: number = 0,
  beforeHeadingSize: number = 0,
  list: React.ReactNode[] = [],
) => {
  while (index < headers.length) {
    const [currentHeadingSize, text] = headers[index];
    if (currentHeadingSize > beforeHeadingSize) {
      const subList = createList(headers, index, currentHeadingSize);
      list.push(
        <ul key={`ul-${index}`} className='px-4'>
          {subList.list}
        </ul>,
      );
      index = subList.nextIndex;
    } else if (currentHeadingSize < beforeHeadingSize) {
      return { list, nextIndex: index };
    } else {
      list.push(
        <Link href={`#${text}`}>
          <li key={`li-${index++}`} className='mb-2'>
            {text}
          </li>
        </Link>,
      );
    }
  }
 
  return { list, nextIndex: index };
};

사이드바를 이용해 라우팅을 하는 모습사이드바를 이용해 라우팅을 하는 모습

Context와 IntersectionObserver 이용하여 Interactivity 추가하기

현재의 사이드바는 라우팅 기능이 있는 정적인 서버 컴포넌트이다.

이번에 추가하고자 하는 기능은 내가 어느 파트를 읽고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기능을 만들고자 한다.

읽고 있는 파트에 대해서 스타일링을 다르게 해주도록 하자

다만 이 때 단순히 현재 읽고 있는 파트 뿐 아니라 상위 파트까지 같이 스타일링을 다르게 해줄 예정이다.

내가 원하는 사이드바의 모습
h1
  h2
    h3
    h3 읽고 있다면 해당 부분까지 모두 액티브
h1
  h2
  h2

어떻게 읽고 있는 곳을 확인 할 수 있을까 ?

window APIIntersectionObserver 를 활용하려고 한다.

IntersectionObserver 는 실제 Actual DOM 의 태그를 선택하여 해당 태그가 뷰포트 혹은 상위 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말 그대로 Intersection 한지를 확인하는 API 이다.

자세한 설명은 MDN 을 참고하도록 하자 🪢 MDN - Intersection Obsserver

사이드바에 적용되는 li 태그의 경우에 li 태그가 렌더링 하는 글자인 text 는 실제 Actual DOM 에 존재하는 h1~h3 태그들의 id 와 같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id 에 해당하는 heading 태그가 뷰포트에서 눈에 보이는지를 확인하여

현재 어느 파트를 읽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heading , li 태그의 순서를 기억 할 수 있도록 parsingHeaders 수정하기

@/lib/interactiveSidebar.tsx
type HeadingSize = 1 | 2 | 3;
export type HeadingText = string;
export type HeadingNumber = number;
export type HeadingInfo = [HeadingSize, HeadingText, HeadingNumber];
export type Headers = HeadingInfo[];
 
export const parsingHeaders = (content: PostInfo['content']): Headers => {
  const headers: Headers = [];
  const splitedContent = content.split('\n');
 
  splitedContent.forEach((paragraph, index) => {
    const [headerSize, ...headerText] = paragraph.split(' ');
    switch (headerSize) {
      case '#':
        // headers.push([1, headerText.join(' ')]);
        headers.push([1, headerText.join(' '), index]);
        break;
      case '##':
        // headers.push([1, headerText.join(' ')]);
        headers.push([2, headerText.join(' '), index]);
        break;
      case '###':
        // headers.push([1, headerText.join(' ')]);
        headers.push([3, headerText.join(' '), index]);
        break;
      default:
        break;
    }
  });
  return headers;
};

본문에서 heading1 ~heading3 까지의 글들을 파싱하여 Headers 배열을 생성하던 parsingHeaders 메소드에서 index 도 배열에 같이 담아주도록 수정해주었다.

순서 역할을 하는 index 를 이용해 현재 읽고 있는 N 번째 heading 태그를 만난다면 동일하게 N 번쨰 li 태그를 활성화시켜주기 위함이다.

ActiveContext 생성

@/components/client/ActiveContext.tsx
'use client';
 
import { createContext, useContext, useState } from 'react';
 
type ActiveContextType = {
  activeIndex: number;
  setActiveIndex: React.Dispatch<React.SetStateAction<number>>;
};
 
export const ActiveContext = createContext<ActiveContextType>({
  activeIndex: 0,
  setActiveIndex: () => {},
});
 
export const ActiveProvider = ({ children }: { children: React.ReactNode }) => {
  const [activeIndex, setActiveIndex] = useState<number>(0);
  return (
    <ActiveContext.Provider value={{ activeIndex, setActiveIndex }}>
      {children}
    </ActiveContext.Provider>
  );
};
 
export const useActiveContext = () => {
  return useContext(ActiveContext);
};

다음과 같이 컨텍스트를 생성해주었다. 해당 컨텍스트는 현재 활성화 되어 있는 index 를 상태 값으로 생성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활성화 되어 있는 index 란 사이드바에 존재하는 li 태그 혹은 heading 태그의 순서를 의미한다.

이전에 말했듯 포스트 사이드바에 존재하는 li 태그들의 순서는 heading 1~3 태그들의 순서와 정확히 일치한다.

ActiveContext 를 구독 하는 ActiveHeader 컴포넌트 생성

@/components/client/ActiveHeader.tsx
'use client';
import { useActiveContext } from '@/app/context/ActiveContext';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type { HeadingText, HeadingNumber } from '@/app/lib/interactiveSidebar';
 
const ActiveHeader = ({
  headingText,
  headingNumber,
}: {
  headingText: HeadingText; // Actual DOM heading tag의 Id와 같음
  headingNumber: HeadingNumber;
}) => {
  useEffect(() => {
    const $targetHeading = document.getElementById(headingText.trim());
    if (!$targetHeading) return;
 
    const options = {
      root: null,
      rootMargin: '0px',
      threshold: 1.0,
    };
 
    const observer = new IntersectionObserver((entries) => {
      entries.forEach(({ isIntersecting }) => {
        isIntersecting && setActiveIndex(headingNumber);
      });
    }, options);
 
    observer.observe($targetHeading);
    return () => observer.disconnect();
  }, []);
 
  const { activeIndex, setActiveIndex } = useActiveContext();
 
  const isUnderActive = headingNumber < activeIndex;
  const isActive = headingNumber === activeIndex;
 
  return (
    <li
      className='mb-2'
      data-active={isActive}
      data-underActive={isUnderActive}
    >
      {headingText}
    </li>
  );
};
 
export default ActiveHeader;

이후 ActiveContext 의 상태를 구독하는 ActiveHeader 컴포넌트를 생성해준다.

해당 컴포넌트에선 li 태그의 children 이자 heading 태그들의 idheadingTitleprops 로 받는다.

해당 값을 이용해 Actual DOM 에 존재하는 태그를 찾아 옵저버에게 등록한다.

이를 통해 해당 heading 태그가 뷰포트에 보이면 ActiveContextactiveIndex 를 현재의 HeadingNumber 로 변경한다.

여기서 HeadingNumberli 태그의 순서이자 heading1~heading3 태그들의 순서를 의미한다.

즉, 만약 4번째 heading 태그가 뷰포트에 나타난다면 activeIndex 는 3이 된다.

이후 li 태그에 isActive , isUnderActive 값을 이용해 어트리뷰트를 추가해준다.

  • isActive : 현재의 li 태그가 가장 최근에 뷰포트에 나타난 heading 태그를 가리키는가?
  • isUnderAcgtive : 현재의 li 태그가 가리키는 heading 태그는 뷰포트에서 지나갔는가 ?

ActiveHeader 컴포넌트를 이용해 PostSideBar 수정하기

@/lib/interactiveSideBar.tsx
export const createList = (
  headers: Headers,
  index: number = 0,
  beforeHeadingSize: number = 0,
  list: React.ReactNode[] = [],
) => {
  while (index < headers.length) {
    const [currentHeadingSize, text] = headers[index];
    if (currentHeadingSize > beforeHeadingSize) {
      const subList = createList(headers, index, currentHeadingSize);
      list.push(
        <ul key={`ul-${index}`} className='px-4'>
          {subList.list}
        </ul>,
      );
      index = subList.nextIndex;
    } else if (currentHeadingSize < beforeHeadingSize) {
      return { list, nextIndex: index };
    } else {
      list.push(
        <Link href={`#${text}`} key={`Link-${index}`} replace>
          {/* <li key={`li-${index++}`} className='mb-2'>
            {text}
          </li> */}
          <ActiveHeader headingNumber={index} headingText={text} />
        </Link>,
      );
      index++;
    }
  }
 
  return { list, nextIndex: index };
};

이후 기존 interactive 하지 않던 li 태그에서 옵저버가 장착된 ActiveHeader 컴포넌트로 변경해준다.

li 태그들 스타일 추가해주기

global.css
:root {
  --background-color: rgb(248 250 252); /* bg-slate-50 */
  --color: #111;
  --side-bar-title: rgb(49 46 129); /* bg-indigo-900 */
  --blockquote-background: rgb(226 232 240); /* bg-stale-200 */
  --blockquote-border-color: rgb(209 213 219); /* bg-gray-300 */
  --blockquote-color: rgb(75 85 99); /* bg-gray-600 */
  --active-sidebar-color: rgb(55 48 163); /* bg-indigo-800 */
  --underactive-sidebar-color: rgb(30 27 75); /* bg-indigo-950 */
}
 
[data-theme='dark'] {
  --background-color: #111;
  --color: rgb(248 250 252); /* bg-slate-50 */
  --side-bar-title: rgb(129 140 248);
  --blockquote-background: rgb(39 39 42); /* bg-zinc-600 */
  --blockquote-border-color: rgb(228 228 231); /* bg-zinc-200 */
  --blockquote-color: rgb(228 228 231); /* bg-gray-400 */
  --active-sidebar-color: rgb(199 210 254); /* text-indigo-200*/
  --underactive-sidebar-color: rgb(129 140 248); /* text-indigo-400 */
}
global.css
li[data-active='true'] {
  color: var(--active-sidebar-color);
  font-weight: 700;
  font-size: 120%;
  transition: 0.3s ease-in-out;
}
 
li[data-underActive='true'] {
  color: var(--underactive-sidebar-color);
  font-weight: 700;
  transition: 0.3s ease-in-out;
}

active , underActive 상태에 따른 li 태그들의 스타일을 global.css 에 정의해준다.

global.css 에서 정의해준 이유는 테마 별 색상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 css variable 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최종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최종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